티스토리 뷰

목차


    “고철 단가 올랐다는데, 뭐가 제일 돈 되나요?”
    철, 알루미늄, 스텐레스… 전부 금속이지만 수익성은 천차만별입니다. 오늘 기준 시세와 함께 가장 돈 되는 고철이 뭔지 분석해드릴게요.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     

    재활용 업계나 중고자원 거래를 하다 보면 가장 많이 묻는 질문이 하나 있습니다. “지금 팔면 뭐가 제일 돈 되나요?” 고철의 단가는 매일 변동되며, 금속 종류에 따라 수익성 차이도 매우 큽니다.

     

    오늘 고철 단가 및 금속별 수익성 분석오늘 고철 단가 및 금속별 수익성 분석오늘 고철 단가 및 금속별 수익성 분석

     

     

    📊 2025년 8월 2일 기준 금속별 시세 요약

    금속 종류 평균 단가 (원/kg) 특징
    혼합 고철 340 ~ 370 가장 일반적인 철 스크랩
    중량 고철 370 ~ 420 산업용 H빔, 기계류
    스텐레스 304 1,900 ~ 2,100 내식성 우수, 주방·건축용
    알루미늄 신판 2,400 ~ 2,700 가볍고 전기전도율 높음
    알루미늄 캔 1,400 ~ 1,600 음료캔 등에서 회수
    동 (구리) 10,000 ~ 11,000 최고가 금속 중 하나

    💸 수익성 순위는?

    단순히 단가만 보면 동(구리)가 최고지만, 구하기 어렵고 분리작업이 까다롭습니다. 현장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금속 중 수익성이 높은 순위는 다음과 같습니다:

    1. 중량 고철 – 단가 높고 물량 확보 쉬움
    2. 스텐레스 304 – 단가 높지만 혼합 시 감량 위험
    3. 알루미늄 신판 – 고가지만 회수율 낮음
    4. 혼합 고철 – 단가 낮지만 거래처 많고 안정적
    5. 알루미늄 캔 – 부피 대비 무게 적어 운반 시 손해

    🛠️ 실전 팁: 무조건 고가만 찾지 마세요

    • 수익성은 단가 × 물량 × 감량률로 결정됩니다.
    • 고가 금속도 감량률이 높거나 이물질 많으면 손해입니다.
    • 혼합 고철·중량 고철처럼 수거 용이 + 낮은 감량 조합이 오히려 이득일 수 있습니다.

    📦 오늘 팔아도 될까? 시세 흐름 확인

    2025년 7월 말~8월 초 기준, 전체 고철 시세는 전반적으로 상승세입니다. 국제 철광석 수요 증가와 중국 내 철강 생산 확대 이슈, 원자재 수입가격 인상 등이 복합 작용하고 있습니다.

    현재는 단가가 꾸준히 오르고 있으므로 빠른 시일 내 거래가 유리할 수 있으며, 특히 중량 고철이나 스텐레스는 이번 주 안에 매도 타이밍을 잡는 것이 좋습니다.

    📌 요약 정리

    • 오늘 기준 최고 단가는 구리(동), 실전 수익성은 중량 고철이 우수
    • 알루미늄과 스텐레스는 정제도에 따라 단가 차이 큼
    • 시세는 현재 상승 중, 늦기 전에 거래 판단 필요
    • 단가만 볼 게 아니라, 감량·수거 조건까지 확인해야 진짜 수익 계산 가능
    • 단가는 참고일 뿐, 실제 정산되는 기준은 업체마다 상이하므로 꼭 비교 문의 필요
    • 거래 전에 시세 2곳 이상 비교하고, 무게 기준과 단가 적용 시점도 체크하세요